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ImageSlider
- Masil
- SwiftUI
- UIKit
- 청년취업사관학교후기
- flutter
- WidgetTree
- 백준
- Swift
- UserDefault
- process
- 스위프트
- 코딩테스트
- 프로젝트회고
- xml
- CS193p
- IOS
- 새싹후기
- MVVM
- GIT
- flutter #state # stateful #stateless
- 스터디
- stanford
- 오늘의 색상
- 조건문
- 프로그래머스
- collectionView
- 알고리즘
- xcode
- colorofdays
- Today
- Total
목록flutter (2)
개발을 시작하는 이야기

사용기술 및 라이브러리Flutterprovider, hooks, riverpod, freezedcache_manager, cached_network_imageSupabase, Realm, Firebase Crashlytics, Analytics, Cloud Messaging, Github, Figma구현한 기능provider와 Riverpod을 활용한 상태관리hooks 를 활용하여 가독성과 재사용성을 확보cache_manager와 cached_network_image를 활용한 데이터 캐시 관리supabase 를 활용한 데이터 관리freezed를 활용하여 모델 관리기존 앱의 Realm 데이터를 Supabase에 이전Local Notification을 활용하여 사용자 개별 알림 설정Google과 Apple ..

Flutter 프롭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곳곳에서 BuildContext를 사용한다. 평상시에 사용할 때는 그저 위젯에 상태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Provider를 사용하거나, Widget을 구분해서 사용할 때는 별다른 무리가 없었다. 하지만 Localization을 사용할 때 약간의 문제가 발생 헸다. flutter_localizations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서 다국어를 처리하고 있었는데, 문제는 다국어 요청을 할 때, BuildContext를 보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이 context가 @override된 Widget 내부에서는 BuildContext를 받아서 사용할 수 있지만, 만일 값이 Widget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면 BuildContext가 전달하는 방식을 알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