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wiftUI
- collectionView
- WidgetTree
- UIKit
- 조건문
- xcode
- UserDefault
- Masil
- stanford
- 코딩테스트
- xml
- MVVM
- Swift
- 프로그래머스
- IOS
- flutter #state # stateful #stateless
- GIT
- flutter
- 청년취업사관학교후기
- 스위프트
- 새싹후기
- CS193p
- 프로젝트회고
- process
- ImageSlider
- 오늘의 색상
- 알고리즘
- 백준
- colorofdays
- 스터디
- Today
- Total
목록IOS (44)
개발을 시작하는 이야기

영화와 드라마, 도서를 보여주는 앱 입니다. 국내 박스오피스를 조회할수 있고, 검색기능을 제공합니다. 상세정보에서는 출연진 정보를 확인할수 있고, 예고편도 확인할수 있습니다. 지도에 영화관을 표시해주고, 필터링 하여 보여줍니다. 사용 기술 및 라이브러리 Swift, iOS, Storyboard, MVC, AutoLayout MapKit, CoreLocation, CLAuthorizationStatus , WebKit, Search Bar, Alert, Font Alamofire, Kingfisher, Realm, RealmSwift, SwiftyJSON Github, Insomnia 구현한 기능 OpenAPI를 Alamofire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불러옴 SwiftyJSON을 활용하여 API의 JSON ..

프로젝트 시작하고 얼마 되지 않았을때 지금까지의 숨가쁘게 달려온 학습에 잠시 숨을 고르며 복습의 시간이 주어졌다. 다만, 숨을 고른다고 했지 쉰다고 한건 아니라 오전에 수업듣고 오후에 복습하고, 프로젝트 진행하는 숨을 고르지만 더 숨막히는 시간이였다. 디자인과 기획을 얼추 마무리 하고나서 본격적인 개발에 앞서 개발 환경을 구축하는일을 시작했다. 파일을 생성하고 파일 내부의 정리를 위해 그룹을 미리 만들어 주고서 Info의 세팅과 Font등록, 그리고 사용할 Package와 Font, ColorSet을 등록했다. 다국어 지원 설정도 해주었는데 이때 욕심을 내서 시작은 원대하게 한국어, 영어, 그리고 일본어와 중국어도 추가시켜주었다. (국내 방문객중 사용자가 많은건 일단 넣었다.) 그리고 문화재청 API를 ..

앱을 구상했으니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해 Figma를 활용해 대략적인 디자인 작업을 실행했다. 각 페이지별로 들어갈 기능을 분배하고, 유저 플로우를 생각하며 UX/UI를 작업했으나, 지금은 여러번의 업데이트 과정을 거치며 많이 변하게 되었다. 초기 디자인 기획 확인 Figma Figma www.figma.com 앱에 사용되는 색상은 단청에 들어가는 5방색을 채용하여 선택을 했으나, 다크모드도 적용할 생각이라, Dark모드의 색상은 임의로 조금 더 어두운 색상으로 등록했다. 디자인과 오방색의 조합이 촌스러워보이긴 하지만 디자이너가 아니기때문에 어느정도 타협하고 가기로 했다. 폰트는 다국어 지원을 예상하며 최대한 다양한 언어가 지원되는 폰트를 사용하였고, 마포구에서 제작해 배포하는 MapoFlowerIslan..

SeSAC에서 한달이 조금 넘게 수업을 들었을때였다. 매일같이 오전에는 Zoom을 통한 수업을 진행하고, 오후에는 복습과 과제를 처리하기 바쁘게 지냈다 (사실 과정이 끝나가는 이 시점에 솔직히 이야기 하자면 과제의 양은 절대 적은편이 아니였고, 이걸 쫓아가기도 힘겨웠다.) 과정중에 간단한 메모앱, 감정 기록앱, 그리고 물마시기 기록하는 앱을 과제 토이 프로젝트로 완성을 하고 약간의 자신감이 붙어 아직 익숙하지 않은 기능들을 위주로 하여 학습을 주 목적으로 한 앱을 만들어서 출시를 진행해보기로 했다. 일단 처음 한것은 사용할만한 오픈API를 검색해서 선택한 후 그에 맞는 디자인과 기획을 하기로 했고, 그렇게 찾아낸것이 문화재청의 오픈 API였다. 문화재청의 API가 궁굼하다면 여기 기획은 단순하게 학습이 ..